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행되었지만, 아직까지는 다중시설 입장 시 본인만의 고유 QR코드를 체크인을 완료해야 합니다. 또한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면 해당 증명도 필요한데요.
체크인 기능과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코로나 QR코드 카카오톡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 QR코드 카카오톡 발급 방법
특히 카카오톡 QR코드는 귀찮게 핸드폰 문자 인증 등을 매번 진행하지 않아도, 핸드폰을 흔들어 주기만 하면 되는 쉐이크 기능이 있습니다. 해당 기능을 통해 자신의 코로나 QR코드와 백신 접종 증명이 화면에 전송됩니다.
단, 처음 설정하는 경우에는 본인 인증과 문자 인증 등을 진행해야 합니다. 한 번 설정 후에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매 월 1회 정도는 핸드폰 문자 인증으로 갱신이 필요합니다.
코로나 QR코드 카카오톡 설정
1. 본인의 핸드폰 카카오톡에 접속하여, 오른쪽 하단에 있는 메뉴 더보기를 선택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설정)를 선택합니다.
2. 다양한 설정 기능 중 아래로 스크롤하여 내리면 '기타' 설정이 보입니다. 기타 메뉴에서 상단에 '흔들기' 홈을 선택합니다.
3. 흔들기 기능을 'ON'해주시고, 아래에 'QR 체크인' 기능도 'ON'으로 활성화시켜줍니다.
카카오에서는 이렇게 '흔들기' 홈 기능을 통해 QR체크인은 물론, 코드 스캔, 결제 등을 할 수 있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능들을 활성화시키고 핸드폰을 흔들어주기만 하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는 출입 시 코로나 QR코드 카카오톡 체크인만 가능한 상태입니다.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면 증명서와의 연동이 필요합니다.
4. 본인의 카카오톡 코로나 QR코드가 생성되면 하단의 '접종 정보 불러오기'를 선택 후 전자 예방접종 증명서 발급, 개인정보 수집 제공 동의를 완료합니다.
질병관리청 백신 접종 증명 시스템인 쿠브(COOV) 앱과 카카오톡이 연동되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다중시설 입장 전 카카오톡을 실행 후, 핸드폰을 2~3번만 흔들어주면 코로나 카카오톡 QR코드가 실행됩니다.
해당 QR코드에는 체크인 기능과 더불어 백신 접종 증명이 한 번에 가능합니다. 다만, 증명서의 경우 확인의 용도로만 이용 가능하고 공식적인 증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질병관리청 쿠브(COOV)를 이용해야 합니다.
또한 전자출입 명부 장비가 없는 곳을 입장할 시에는 수기 명부를 작성해야 합니다. 본인의 이름과 핸드폰 번호, 주소 등을 작성해야 하는데, 이때 개인정보유출의 우려가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QR코드 상단에 있는 개인 안심번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입장 시간과 개인 안심번호를 작성하면 출입이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체크인과 백신 접종 증명에 가능한 코로나 QR코드 카카오톡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댓글